보건소에서 보건증을 만드는 방법, 비용, 시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급식실, 식당 등 대중을 상대로 식품을 다루는 곳에서 아르바이트나 취업을 하기 위해서 발급받으십니다.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1. 보건증 발급 방법
가장 일반적으로 보건소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습니다. 보건소가 보건증 발급 비용이 가장 저렴합니다.
제가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노원구 보건소를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가까운 보건지소가 있지만 보건소에서만 검사를 한다고 합니다.
해당 보건소에 운영시간을 확인하고 신분증을 준비합니다.
해당구 거주자 또는 해당구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와 사업자는 검사 가능합니다.
- 신청서 작성: 보건소에 가서 보건증 신청서를 간단하게 작성하고 번호표를 뽑아 대기합니다. 순서가 되면 신청서, 신분증, 결제비용을 지불합니다. 이 때 카드결제도 가능 합니다.
- 건강검진 방법: 엑스레이와 항문 검사를 합니다. 2-1. 상의 탈의 후 흉부 엑스레이이 촬영합니다. 이때 남자는 면티정도 입었다면 그대로 촬영하고, 여자는 속옷 때문에 가운으로 갈아입습니다. 머리카락이 내려오지 않게 올려 묶어야 합니다. 머리핀은 탈의실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2-2 . 항문검사가 좀 난감한데요. 긴 면봉이 달린 키트를 줍니다. 화장실에서 항문에 2센티 정도 삽입후 키트에 담아 수거함에 가져다 놓습니다.
- 검사 결과 확인: 검사가 끝난 후, 정상 결과가 나오면 보건증이 발급됩니다. 평일 기준 5일 정도 소요되니 필요한 날짜 확인하시고 빠르게 검사하길 바랍니다.
2. 비용
- 보건증 발급 비용은 대체로 3,000원 ~ 10,000원 사이입니다. 노원구보건소는 3,000원 이었고 카드 결제 가능합니다.
- 비용은 보건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소요 시간
- 보건증 발급까지의 시간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나 노원구 보건소는 5일 걸립니다. 월요일에 하면 금요일에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요시간이 꽤 길어 당황스러우니 필요하신분은 미리 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 검사결과는 보건소에 방문하여 본인이 수령하거나, 대리인이 수령, 인터넷 발급 할 수 있습니다
- 대리수령일 경우 위임장+ 검사자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 인터넷 발급을 원하시면 e보건서 공공보건포털에서 조회 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4. 준비물
신분증, 검사비 3000원
5. 건강진단결과서(식품)로 알 수 있는 질병
파라디푸스, 장티푸스, 결핵, 세균성 이질
참고: 보건소에 따라 절차나 소요 시간, 비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